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놓치면 안 될 다양한 지원금 제도가 2025년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생활 안정부터 취업 지원, 주거비 보조, 교통·문화 혜택까지 폭넓은 범위의 혜택이 마련되어 있는데요,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서울청년이 받을 수 있는 주요 지원금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1. 서울청년수당
취업을 준비 중인 만 19~34세 서울 거주 청년에게 최대 6개월 동안 월 50만 원을 지원합니다.
✔️ 신청 자격: 중위소득 150% 이하, 미취업 상태
✔️ 지원 방식: 서울청년포털 → 신청서 제출 → 선정 후 현금 지급
✔️ 활용 가능: 교통비, 식비, 자기계발비 등
2. 서울 영테크 지원 (청년 금융지원)
금융 상담부터 적금 지원까지 포함된 ‘서울 영테크’ 프로그램은 청년의 금융 자립을 돕습니다.
✔️ 지원 내용: 금융 교육 + 서울 영테크 전용 적금 연계
✔️ 월 최대 10만 원의 적금 지원 혜택 (기관 연계)
✔️ 신청: 서울시 청년포털 > 영테크 페이지 접수
3. 청년월세지원
서울시에서는 독립 거주 청년을 위한 월세 지원도 제공합니다.
✔️ 월 20만 원씩 최대 10개월 지원
✔️ 신청 자격: 만 19~39세, 무주택,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
✔️ 신청처: 서울주거포털 또는 청년몽땅정보통 사이트
4. 서울 청년안심주택
역세권 등에서 임대주택을 저렴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✔️ 신청 자격: 만 19~39세, 근로소득 또는 소득 기준 충족
✔️ 임대료: 시세 대비 30~50% 수준
✔️ 신청처: 서울주택도시공사(SH공사) 홈페이지
5. 청년취업사관학교
취업·창업 준비생을 위한 실무 중심의 훈련 프로그램입니다.
✔️ 대상: 서울시 거주 청년 누구나
✔️ 과정: 데이터 분석, UX/UI 디자인, 코딩 등 실무교육
✔️ 비용: 전액 무료 / 일부 훈련수당 지원
✔️ 신청처: 청년취업사관학교 공식 홈페이지
6. 청년 교통비 환급
서울시 청년을 위한 대중교통 이용 환급제도입니다.
✔️ 대상: 만 19~34세, 서울 거주, 대중교통 이용 실적 보유자
✔️ 지원 금액: 연간 최대 12만 원 교통비 환급
✔️ 신청 방법: 서울시 교통비 지원 홈페이지 또는 서울청년포털 공고 확인
7. 문화누리카드
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청년에게 문화·여가·체육 활동비를 카드로 지원합니다.
✔️ 대상: 만 6세 이상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포함 청년
✔️ 지원금: 연간 11만 원 충전
✔️ 사용처: 영화관, 도서, 공연, 체육시설 등
✔️ 신청 방법: 문화누리카드 누리집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
8. 서울 문화포인트
서울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문화 향유 장려 포인트 제도입니다.
✔️ 대상: 서울 거주자 누구나 (청년 포함)
✔️ 적립 및 사용: 공연 관람, 문화활동 시 포인트 적립 및 할인 사용
✔️ 신청 방법: 서울문화포털 또는 문화비축기지 사이트 등에서 가입 및 신청
✔️ 청년수당: 월 50만 원 × 6개월
✔️ 월세지원: 최대 200만 원
✔️ 금융지원: 영테크 적금 연계 혜택
✔️ 주거: 안심주택 저렴한 임대
✔️ 교통: 연간 12만 원 환급
✔️ 문화: 문화누리카드·문화포인트로 혜택 확대
지금 할 수 있는 행동
📌 서울청년포털을 방문해 현재 모집 중인 프로그램을 먼저 확인하세요.
📌 교통비 환급, 문화누리카드, 문화포인트 등은 별도 플랫폼에서 신청하므로 링크도 함께 확인하세요.